본문 바로가기
이모정보 유익한 정보

기억이 '가물가물' 치매인 듯 보이는 당신, 사실은 우울증

by 쿠키만드는 엄마 2024. 4. 20.

"분명 방금 들었는데, 무슨 얘기였는지 기억이 안 나요"

살면서 이런 경우가 흔히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증상이 되풀이 될 때는 치매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우울증 환자의 경우에도 치매 환자처럼 인지 저하 증상을 보입니다.  증상은 치매와 같지만 치료가  다르기 때문에 구별해야 합니다. 우울증인데 치매처럼 보이는 현상을 ‘가성 치매’라고 합니다. 치매로 병원을 찾는 사람 10명 중 4명이 가성 치매 환자일 정도로 치매와 증상이 매우 유사합니다. 다행인 것은 가성치매는 다행히 다른 치매와 달리 회복이 가능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치료를 하지 않고 내버려 두면 치료가 어려운 다른 치매 발병 위험이 커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기억이 가물가물 치매인 듯 보이는 당신, 우울증

 

우울증으로 인한 가성치매의 특징은 인지 저하 외에도 우울감, 불안, 초조, 불면, 식욕감소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치매에 걸린 게 아닐까'라고 걱정한다면 가성치매일 확률이 큽니다.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 교수는 “실제 치매 환자는 자신은 괜찮다고 하지만, 주변 사람들이 이상함을 감지해 병원으로 데리고 오는 경우가 많다”고 했습니다. 자신의 치매가 걱정된다는 것은 자아를 인지하기에 진짜 치매가 아닌 것입니다.

 

가성치매는 사건을 떠올리는 양상도 보통의 치매와 다릅니다.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에겐 겪었던 상황에 대한 단서를 줘도 기억하지 못하지만, 가성 치매 환자는 단서를 주면 해당 상황을 기억해 낼 수 있습니다. 가성 치매 환자는 실제 기억력이나 판단력이 저하됐다기보다 ‘집중력’ 저하가 원인이기 때문입니다. 뇌에 정보가 있지만, 집중력이 떨어져 그 정보를 인식하거나 표출하는 등 기억해 내지 못합니다.

 

 

또 가성 치매는 치매보다 증상이 급격하게 나타나고, 우울증 경도에 따라 인지 저하 정도도 많이 다릅니다. 가성 치매가 회복이 가능한 이유는 뇌가 아닌 각성에 영향을 주는 ‘세로토닌’ 신경전달 물질 분비량이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발병하기 병이기 때문입니다.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박기형 교수는 “실제 가성 치매 환자의 뇌를 MRI 찍어보면 크게 문제가 없다”며 “세로토닌 분비량이 줄어들면 기분도 나빠지지만, 각성이 떨어지면서 집중력도 떨어져 인지 기능까지 저하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확실한 사실은 우울증 치료를 하면, 인지 능력을 회복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울증 약물치료를 받게 되면 세로토닌과 같은 모노아민 계통의 신경전달물질 분비량이 늘어나, 집중력이 높아지면서 인지 능력도 다시 회복된다. 가성치매라면 약물치료와 함께 상담치료, 대외 활동 확장 등 우울증 자체를 치료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실제로 고려대 안암병원 한창수 교수의 2017년 연구에 따르면 건망증을 동반한 우울증을 1년 정도 치료했더니 기억력을 포함한 인지기능이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회복 가능하다고 그냥 방치해 두면, 오히려 진짜 치매 발병 위험이 높아지게 됩니다. 우울증이 만성화되면 약제에 대한 내성이 생기고, 우울증 재발 가능성도 높아져 인지 저하 능력 회복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오대종 교수와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 공동 연구팀 연구 결과, 우울증으로 인한 인지 저하가 2년 이상 만성화되거나 재발하면 6년 이내 실제 치매 발병 위험이 12배, 악화하면 46배까지도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만성 우울증은 해마 위축 등 뇌에 실질적인 타격을 주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가성 치매를 예방하려면 혈관 관리, 운동 그리고 사회활동을 해야 합니다. 적극적으로 활동량을 늘려야 합니다. 실제로 핀란드에서 1260명을 대상으로 2년 동안 혈관 관리, 운동, 식습관 관리, 사회적 교류 활동을 하는 임상 시험을 진행했더니, 약물 복용 없이도 치매 발병률이 낮아지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뇌 건강은 혈관 관리가 중요한데, 건강한 식습관, 금주, 금연 등으로 실천할 수 있습니다. 또 운동은 혈관 건강을 지키면서 우울증도 완화할 수 있는 아주 좋은 예방책입니다.

 

몸을 움직이는 운동 자체가 뇌세포를 보존하고, 신경전달물질 분비량이 감소하지 않게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만약 운동이 힘들다면 하루 30분 햇볕 아래에서 걷는 등 간단한 활동이나 일상생활에서 좀 더 활동적으로 움직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 일상 생활에서 사람들을 자주 만나고 사회활동을 많이 하여 사람과 교류하면 우울감이 훨씬 줄어드는 효과가 있으니 많이 만나는게 좋습니다.